콘텐츠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서비스 정상가동중 | 10/29 04:10
  • 기술 지원 070-7011-3900
  • 구매 문의 070-7011-0789

온라인용역통제시스템 도입,
KISA 정보보호제품 신속확인제가 왜 중요할까?

  • 인사이트
리모트뷰SE

최근 공공기관 및 금융권을 중심으로 IT 시스템의 안정성과 보안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습니다. 특히 망분리 환경에서 외부 용역업체의 원격 유지보수가 필수적이 되면서 이 접속 과정을 안전하게 통제하는 온라인용역통제시스템의 도입이 핵심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이 때문에 망분리 환경에서 안전하게 외부 접속을 통제하는 온라인용역통제시스템의 도입이 필수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최근, 이 시스템을 평가하는 새로운 기준인 KISA 신속확인제가 핵심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오늘은 KISA 신속확인제가 무엇인지, 그리고 온라인용역통제시스템 도입에 이 인증이 왜 중요한지 알아보겠습니다.

KISA 신속확인제란 무엇인가요?

정보보호제품 신속확인제는 이름 그대로, 신기술이 적용된 정보보호제품이 공공 시장에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입니다.

기존에는 제로트러스트(Zero Trust)나 AI 기반 보안 솔루션처럼 뛰어난 기술이 있어도, 이를 평가할 인증 기준(보호프로파일)이 없어 공공기관 납품이 사실상 불가능했습니다.

KISA 신속확인제는 이러한 신기술 융·복합 제품을 대상으로 최소한의 절차와 기준으로 보안성과 기능성을 검증한 뒤, 공공기관('나', '다' 그룹)에 별도의 보안 적합성 검증 없이 2년간 도입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준 제도입니다.

정보보호제품 신속확인 제도

리모트뷰SE

신속확인제 절차

리모트뷰SE

왜 온라인용역통제시스템에 신속확인제가 필수일까요?

1. 제로트러스트 보안원격 신기술의 공식 입증
온라인용역통제시스템은 단순한 보안원격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기존의 경계형 보안을 넘어, '접속 후 모든 행위를 통제'하는 제로트러스트 보안 모델이 융합된 차세대 솔루션입니다.

🔑 기존 경계형 보안: 일단 접속을 허용하면 내부망 접근이 비교적 자유로워 위협에 취약합니다.

🎯 제로트러스트 융합: 접속 후에도 "A 작업자는 B 서버의 C 포트만 허용"하는 식의 '최소 권한 원칙'을 적용해 내부 확산을 원천 차단합니다.

KISA 신속확인제는 기존 CC인증 등으로는 평가가 불가능했던 이러한 '지능형 제어'와 '완벽한 가시성'을 갖춘 신기술 제품임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입니다.

리모트뷰SE

2. 망분리 환경의 완벽한 보안 지침 준수 증명

공공기관은 '국가 정보보안 기본지침' 및 '국가·공공기관 용역업체 보안관리 가이드라인'에 따라 엄격한 망분리 환경을 운영합니다. KISA 신속확인제를 통과했다는 것은 이 까다로운 망분리 환경의 보안 규정들을 모두 충족한다는 의미입니다.

[리모트뷰 SE가 준수하는 핵심 보안 가이드라인]

- 지정 단말 통제: 허가된 IP와 MAC 주소를 가진 단말기에서만 접속 허용

- 접속 경로 통제: 24시간 상시 접속을 금지하고, 관리자 승인 하에 정해진 시간에만 접속 허용

- 엄격한 감사: 모든 접속 이력과 원격제어 작업 내용을 전수 녹화하여 1년 이상 보관

- 보안 서약: 원격 작업 전 보안 서약서 동의 및 실시간 작업 모니터링(LiveView)

알서포트의 온라인용역통제시스템 '리모트뷰 SE’가 바로 이 KISA 신속확인제를 공식 획득했습니다.

정보보호제품 신속확인 제도

리모트뷰 SE, 제로트러스트 보안원격을 신속확인으로 입증하다

공공기관 도입의 핵심 요건인 KISA 신속확인제를 알서포트의 온라인용역통제시스템 '리모트뷰 SE'가 공식적으로 획득하며 그 기술력과 보안성을 입증했습니다.

리모트뷰SE는 KISA의 신속확인 심의 과정에서,

✅ 취약점 분석·평가: 발견된 모든 결함 조치 완료

💯 S/W 보안약점 진단: 결함 0개 달성

🥇 기능 시험: TTA GS인증 1등급 획득

을 통해 제로트러스트 기반의 기술력과 보안원격의 안정성을 모두 입증했습니다.

신속확인제 그 이상: KVM으로 완성하는 망분리 원격제어

하지만 리모트뷰SE는 여기서 멈추지 않습니다. S/W 방식의 온라인용역통제시스템은 OS가 정상이고 네트워크가 연결되어야만 작동한다는 명확한 한계가 있습니다.

리모트뷰 SE는 이러한 망분리 환경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하드웨어 KVM 솔루션 '리모트뷰박스 (RemoteViewBOX)'와의 결합을 지원합니다.

S/W가 접근 불가능한 상황(블루스크린, OS 손상, 네트워크 장애)에서도 KVM 장비를 통해 원격으로 CMOS(BIOS) 화면에 직접 접근하거나 PC 전원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는 도서산간 지역의 무인 장비나 장애 발생 시 물리적 출동이 어려운 망분리 환경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입니다.

리모트뷰SE

온라인용역통제시스템의 새로운 기준, 리모트뷰 SE

온라인용역통제시스템 도입을 검토 중이신가요? 이제 신속확인제 획득 여부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제로트러스트 기반의 강력한 보안원격 기능은 물론, KISA 신속확인제로 공공기관 도입 요건을 공식 입증하고, 업계 유일의 KVM 하드웨어 확장성까지 갖춘 리모트뷰SE가 가장 확실한 해답이 될 것입니다.

온라인용역통제시스템 리모트뷰SE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지금 바로 문의하세요.

KVM
리모트뷰
리모트뷰SE
리모트뷰박스
망분리
보안원격
온라인용역통제시스템
원격접속
원격제어
원격제어솔루션
원격제어하드웨어
제로트러스트

관련 콘텐츠

문의하기

시작가이드

가상 체험